밍 석
밍석의 devlog
밍 석
  • 분류 전체보기 (58)
    • 글쓰기(=writing) (8)
      • 어떤 개발자가 되고 싶은가? (1)
      • 깊이 학습 한다는 것은? (1)
      • 23년 생각 정리 + (회고) (1)
    • TIL (=Today I Learned) (0)
    • 프로젝트(project) (2)
      • ERD 설계 느낀 점 (1)
      • AWS 배포 느낀 점 (1)
    • aws (8)
    • Java (28)
    • Spring (0)
    • Linux (1)
    • git (3)
    • ETC (4)
      • h2 DB 설치 (0)
      • 우아한 테크코스 (백엔드) (4)
      • IntelliJ IDEA (0)
    • project 환경 세팅 (0)
    • Dev Book Review (0)
      • git 레포로 관리 -> 링크 (0)
    • 기록하고 싶은 글 (2)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인기 글

최근 댓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밍 석

개발과 관련된 내용을 기록하는 블로그

사설 ip, CIDR / 서브넷이란?
aws

사설 ip, CIDR / 서브넷이란?

2023. 12. 9. 09:59

사설 ip, CIDR

한정된 IP주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IP주소를 분할하고자 만든 개념이다.

  • 사설IP = 프라이빗IP 라고도 부른다.
    • 무엇인가? → 내 컴퓨터 IP
  • IPv4기준으로 IP 갯수는 43억개 정도로 추정된다.

 

사설망

  • 내부에는 외부 인터넷 망으로 부터 통신이 불가능한 사설 IP로 구성 된다.
  • 외부로 통신할 때는 통신 가능한 공인 IP로 나누어 사용한다.
IPv6 최대 ip 개수가 2^128 이다. IPv4기준인 43억개는 아무것도 아닐 정도로 많다.

 

CIDR 설명

 

네트워크 주소 bit가 32가 최대이다. 호스트 비트의 갯수는 최대가 32에서 현재 정해져 있는 24bit를 뺀 값이 호스트 주소의 bit가 되는 것이다. 즉, 32 - 24 = 8bit 임으로 마지막 자리만 변하게 되는 곳이다.

"애초에 /24 라고 표시되어 있으면, 8로 쪼개봐라. 그러면 몇자리가 고정값인지 알 수 있다"

/24 처럼 “/” 뒤에 숫자에 따라, 해당 위치의 숫자들이 변하게 될 자리인지 아닌지 판단 하게 된다.

네트워크 주소 + 호스트 주소인 4자리가 있다면 각 자리마다 8비트라고 생각하면 된다.

  • 각 자리마다 8비트라는 것은 변하지 않는 것이다. 헷갈리지 말기.

 

24비트는 → 8 + 8 + 8 이기에 주소 단위인, 즉 0을 제외한 3자리는 고정값이라고 생각하면 되는 것이다.

(각 자리는 무조건 8bit다 까먹지 말기)

네트워크 주소 : 고정된 값 자리
호스트 주소 : 변동 가능한 값 자리

 

 

CIDR(=Classless Inter Domain Routing)

  • ip는 주소의 영역을 여러 네트워크 영역으로 나누기 위해 ip를 묶는 방식이다.
  • 여러 개의 사설망을 구축하기 위해 망을 나누는 방법이다.

CIDR Block / CIDR Notation

 

파란색 부분은 고정, 노란색 부분의 0 ~ 255까지는 변동 가능하다.

  • CIDR Block : ip 주소의 집합이다.
  • CIDR Notation : CIDR Block을 표시하는 방법이다.
    •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된다.
      • 파란색이 네트워크 주소, 노란색이 호스트 주소이다.
    • 각 호스트 주소 숫자 만큼의 ip를 가진 네트워크 망을 형성 가능하다.
  • A.B.C.D/E 형식
    • e.g.) 10.0.1.0/24, 172.16.0.0/12
    • A.B.C.D : 네트워크 주소 + 호스트 주소 표시한다.
    • E : 0 ~ 32 : 네트워크 주소가 몇 bit인지 표시한다.

 

 

서브넷이란?

  • 네트워크 안의 네트워크이다. → 큰 네트워크를 잘게 쪼갠 단위를 말한다.
    • VPC에 할당된 IP를 더 작은 단위로 분할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자.
  • 중요) 하나의 서브넷은 하나의 가용영역안에 위치 해야 된다.

 

 

빨간색 상자 부분이 고정값이고, 파란색 상자가 변경될 수 있는 숫자인 것이다.

  • 즉, “0”이란? → 1일수도, 2일수도, 3일수도 … 있는 것이다.

  • 중요하게 봐야 할 것은, 노란색 틀은 전체 네트워크 ip인 192.168.0.0/16 이다
    • 전체 네트워크 ip가 /16 이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32 - 16 = 16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.
      • 즉, 16은 8 + 8 임으로 두자리 까지만 고정값으로 할당 되게 되는 것이다.
      • 다시 말해, 192 . 168 . 0 . 0 이라고 되어 있으면, 192 . 168 까지만 고정 값이라는 것이다.
      • 그뒤인 0의 뜻은 1, 2, 3, 4 … 여러 숫자 일 수 있다는 뜻이다. → 너무 많다.
      • 그렇기에 서브넷을 사용하는 것이다.
  • 네트워크가 너무 크기에, 서브넷 단위로 쪼갠다.
    • 그리하여 서브넷1, 서브넷2, 서브넷3 등등이 만들어 지게 되는 것이다.
    • 중요한 것은 서브넷1 을 보자면, 192.168.1.0 으로 되어 있는데, 192.168.1 부분까지는 고정으로 서브넷1이 책임지고 맡게 되는 것이다.
    • 때문에, 그 뒤인 192.168.1.1, 192.168.1.2, 192.168.1.3 … 등을 맡게 된 것이다.

 

AWS 서브넷의 IP 갯수

  • AWS의 사용 가능 IP숫자는 5개를 제외하고 계산한다.
    • e.g.) 10.0.0.0/24 라면 → 8 + 8 + 8 이기에 3자리 고정이다.
      • 첫번째. 10.0.0.0 네트워크 어드레스로 빠진다.
      • 두번째. 10.0.0.1 VPC Router로 빠진다.
        • 즉, VPC Router가 ip를 점유하고 있기에 나는 못쓰는 것이다.
      • 세번째. 10.0.0.2 DNS Server
      • 네번째. 10.0.0.3 미래에 사용을 위해 남겨 둔다.
      • 마지막번호(255) :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는 지원하지 않음

이렇게 5가지는 서브넷에서 제외 하는 것이다.

 

 

서브넷의 종류

  • 퍼블릭 서브넷 :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연결할 수 있는 서브넷을 말한다.
    • 인터넷 게이트웨이(IGW)를 통해 외부의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다.
    • 안에 위치한 인스턴스에 퍼블릭 IP 부여 가능하다
    • 웹서버,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유저가 접속하여야 하기에 노출되어야 하는 인프라이다.
  • 프라이빗 서브넷 :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연결할 수 없는 서브넷
    • 외부 인터넷으로 경로가 없다
    • 퍼블릭 IP를 부여 할 수도 없다
    • 데이터베이스, 로직 서버 등 외부에 노출 될 필요가 없는 인프라이다.

 

 

 

참고 : https://www.youtube.com/@AWSClassroom
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VPC란? / 보안 그룹(Security Group)이란?  (0) 2023.12.09
라우트 테이블(Route Table) / 보안 그룹(Security Group)  (0) 2023.12.09
EC2란? / RDS란?  (0) 2023.12.09
클라우드 컴퓨팅 / 리전(Region) / 가용영역(Availability Zone)  (0) 2023.12.09
EC2에서 RDS 연결 확인 방법  (0) 2023.12.05
    밍 석
    밍 석
    밍 석

    티스토리툴바